카테고리 없음

2025-2026 서울 포함 전국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지원사업 신청 방법 총정리! (신청자격, 지원금액, 실제사례 설명)

maemstory 2025. 4. 11. 08:42
반응형

 

 

📝 신청 방법부터 빠르게 확인!

 

서울형 주거상향지원사업은 온라인 신청이 아닌, 오프라인 상담을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.
가까운 동주민센터나 서울주거안심종합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어요.

 

📌 공공임대 (SH·LH 매입/전세임대) 신청 절차

  1.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
  2. 자치구에서 소득·자산 조사 후 대상자 선정
  3. 공공임대주택 매칭 (SH·LH)
  4. 계약 및 입주 절차 진행

 

📌 민간임대 (버팀목전세자금대출) 신청 절차

  1. 우리/국민/신한/농협/하나은행 방문 상담
  2. 동주민센터에서 '비정상거처 거주확인서' 발급
  3. 지상층 주택 물색 및 임대차계약 체결
  4. 은행에 서류 제출 → HUG와 은행의 대출 심사
  5. 심사 승인 후 대출 실행

 

📍 신청서류

  • 신분증, 등본, 가족관계증명서, 수급자증명서 등
  • 임대차계약서, 거주사실확인서, 비정상거처 거주확인서 등

 

 

👉 모든 정부사업은 예산이 정해져있으므로 서울시 공식 안내 페이지에서 늦지 않게 신청하세요

 

 

👥 지원 대상은 누구?

 

다음과 같은 주거환경에 3개월 이상 거주한 사람이라면 신청할 수 있어요.

 

  • 쪽방, 고시원, 여인숙, 비닐하우스, PC방, 만화방, 움막, 컨테이너
  • 침수 위험 반지하, 옥탑방(필수설비 미비), 노숙인 시설 거주자
  • 가정폭력 피해자, 출산 예정 미혼모, 아동과 함께 사는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
  • 재해로 임시 거주 중인 이재민, 범죄피해자 중 법무부장관 추천 대상자

💰 지원 금액 및 실제 혜택

 

✅ 공공임대 (SH/LH)

 

임대주택 SH/LH에서 제공하는 공공임대 연계
보증금 융자 최대 500만 원 무이자 대출
이주비 최대 40만 원 (이사비+생필품비 포함)
대출기간 최초 2년, 최장 20년까지 연장 가능

 

✅ 민간임대 (버팀목전세자금대출)

 

보증금 대출 최대 8,000만 원 가능
대출금리 5천만 원까지 무이자 / 초과분 연 1.2~1.8%
이주비 지원 최대 40만 원
대출기간 최초 2년, 최장 10년 연장 가능

 

📊 소득 및 자산 기준 (2025년 기준)

 

✅ 공공임대 지원 기준

 

가구 수         소득 기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자산 기준

1인 가구 월 251만 원 이하 (도시근로자 평균의 70%) 총자산 2.37억 원 이하, 자동차 3,803만 원 이하
2인 가구 월 328만 원 이하 (60%) 동일
3인 가구 월 381만 원 이하 (50%) 동일

 

✅ 민간임대 대출 기준

 

  • 총소득: 부부 합산 5,000만 원 이하
  • 순자산: 최근 통계 기준 3.37억 원 이하

🧭 전국 다른 지역의 유사 제도!

 

서울 외에도 부산, 인천, 경기도, 대전, 광주 등에서 유사한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정책을 운영 중입니다.

 

부산 주거상향지원 사업 쪽방촌 이주 + 생계비 지원
경기 경기도형 주거복지 GH 공공임대 우선 공급
인천 주거복지센터 운영 고시원·반지하 이주 연계

 

 

 

📞 어디서 상담받을 수 있을까?

 

✨ 마무리 – “내가 받을 수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!”

 

서울형 주거상향지원사업은 단순한 임대주택 제공이 아닌,
이주부터 정착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종합 주거복지 프로그램이에요.
당장 집이 열악한 분들에게는 꼭 필요한 기회입니다.

 

 

📌 지금 거주 환경이 아래에 해당된다면, 바로 동주민센터로 가보세요.
쪽방, 고시원, 반지하, 컨테이너, 옥탑방, 여인숙, 비닐하우스 등

 

반응형